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가지 원칙 독서 후기

1. 게리 바이너척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 가지 원칙

 게리 바이너척은 연쇄 창업가이자 유명한 엔젤투자자 입니다.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에서 동기부여 콘텐츠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게리 바이너척이 집필한 "부와 성공을 부르는 12가지 원칙" 은 게리 바이너척의 원칙을 적어둔 책으로, 그의 6번째 저서입니다. 12가지 원칙을 앞에 알려주는 첫번째 파트와, 질의 응답 형식으로 실제 많은 사람들의 고민에 대한 35가지를 조언하는 두번째 파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오늘부터는 이 책의 12가지를 읽으며 제가 느꼈던 점과 실제 생활에서 적용한 내용들을 적어서 글로 남기려고 합니다. 

2. 첫번째, 나의 반쪽, 친절한 솔직함

 이 책에서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 가장 앞에 나오는 것은 0.5번째 원칙이 등장합니다. 바로 친절한 솔직함입니다. 이 글을 쓰는 이유도, 누군가의 친절한 솔직함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제가 책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솔직하고 직설적인 피드백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저는 독서를 한 달에 한 권 깊이 있게 읽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렇게 읽은 책은 덮어버리고 뿌듯함을 느꼈습니다. 다만, 누군가의 "친절한 솔직함"을 느낀 날에는 제가 독서를 대하는 태도가 굉장히 잘못되었고, 죽은 독서라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친철하며 솔직했던 피드백은,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는 생각과 지식이었습니다. 아무리 좋은 책을 읽어도, 나도 모르는 사이에 쳇바퀴처럼 돌아가는 야근과 반복되는 업무, 그리고 피곤함은 저에게 책을 읽은 순간의 결심과 생각들을 흐려지게 만들었습니다. 혼자서 다양한 생각들을 하며 남겼던 메모는 늘 행동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글씨로만 남았습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친절한 솔직함은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피드백을 하기 위해, 있는 현 상황을 그대로 피드백 하지 못하고 돌려돌려 말하다 보니, 안좋은 상황은 계속 악화되고 개선되어지지 않았습니다.

 

 이 책에서도 저자는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정확한 피드백 없이 잘했다고 긍정적인 반응만 보여주니 직원들은 자신이 실제보다 더 능력이 있다는 착각에 빠지기 시작했고, 그 착각은 이상한 자부심으로 이어졌다."  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이 부분이 바로 친절함과 솔직함을 착각하고 누구나 반복하는 실수입니다.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남의 부족한 부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면서 말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결정적인 순간에 크게 위험함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게리는 아직도 친절한 솔직함을 아직도 터득하지 못한 나의 반쪽이라고 표현합니다. 저도 이 책을 읽은 내내, 친절한 솔직함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 읽게 되었습니다. 

3. 친절한 솔직함에 대한 나의 생각

 저는 친절한 솔직함은 리더, 그리고 부하직원에게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리더의 솔직한 피드백은 부하직원이 더 나은 업무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자양분이 됩니다. 반대로 부하직원의 친절한 솔직함은 리더를 더 나은 리더로 만들고, 부하직원에게는 팔로우십을 가지도록 만들고, 후일 리더가 되었을 때에도 더 나은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해줄 것입니다.  친절한 솔직함은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는 메타인지와도 연결이 됩니다. 누군가로부터 내가 솔직한 피드백을 받고, 나도 누군가에게 솔직한 피드백을 함으로써 피드백을 받는 입장에서, 전에 알지 못하는 나 자신을 한번 더 생각하게 합니다.

 솔직하게 하는 피드백을 누군가는 무례하게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책에서도 나온 것처럼, 솔직함과 친절함을 헷갈려서 범하는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솔직함과 친절함을 헷갈리게 된다면 그 결과는 항상 나쁠 때가 많았습니다. 저도 저의 부하직원에게 잘못된 친절함을 베풀어 낭패를 보았던 적도 있습니다. 솔직하지 못하고 친절하기만 했던 피드백은 부하직원의 성장의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제가 현직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을 했을 때에는 솔직함과 친절함을 구분하지 못해 고객의 마음을 상하게 하여, 고객이 발길을 돌리게 만든 적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제가 부족한 친절한 솔직함은 저를 더욱 발전 시킬 것입니다. 제가 못한다고 외면해 버리는 것이 아닌 부족함을 알기에 더욱 조심하고, 또 같은 상황이 왔을때도 회피하는 것이 아닌, 더 나은 결정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 마음속에 새기면서, 12가지 원칙을 나의 삶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